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그림과실습으로배우는 도커쿠버네티스<2> - 도커의 동작원리
    도커&쿠버네티스 2023. 11. 1. 14:12

    도커를 사용하면, 운영체제 위에 도커 엔진이 동작하고 그 위에 컨테이너가 동작한다.

     

    컨테이너에는 리눅스 운영체제 비슷한 무언가가 기본적으로 들어가 있다.

     

    운영체제는 '커널' 과 주변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변 부분이 프로그램으로부터 연락을 받고 커널이 하드웨어를 다룬다.

     

    결국 주변부분은 프로그램과 커널과의 연락을 담당한다.

    주변부분과 커널을 합쳐 만든 패키지가 배포판이다. 레드햇, centOS, 우분투 등이 대표적인 배포판.

     

    도커에서는 컨테이너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운영체제의 커널이 컨테이너 속 프로그램의 명령을 전달받을 수 없다. 따라서 컨테이너 안에 주변부분이 들어 있어 이를 운영체제의 커널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커는 기본적으로 리눅스 운영체제에서만 동작한다.

    컨테이너에 리눅스 운영체제의 주변 부분이 들어가있고 이를 리눅스 운영체제의 커널로 전달하기 때문이다.

     

    정리하면, 도커는 리눅스 컴퓨터에 독립된 격리 환경을 만드는 것이며, 리눅스에서만 동작하고, 컨테이너에서 동작할 프로그램도 리눅스용 프로그램이다. (윈도우나 macOS 의 경우는 리눅스 가상 환경 위나, 필요한 리눅스 운영체제 패키지를 포함하여 설치해서 사용하게 된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