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Spring JPA> 1.4 Hello JPA 애플리케이션 개발
    JPA 2020. 4. 9. 09:58

    프로젝트 세팅이 끝났다면 간단하게 코드를 작성하여 JPA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JPA 가 관리할 객체를 생성해주기 위해 클래스를 만든다.

     

    일단은 디비 스키마와 동일하게 만들어주자.

    클래스를 작성하고 클래스에 @Entity 어노테이션을 붙여주고, PK 값에 @Id 를 명시해주면 된다.

     

    EntityManagerFactory emf = 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hello");

    쓱 생성해준다. input 파라미터는 persistence-unit 에 쓴 name 이다.

     

    JPA는 아래와 같이 동작한다.

     

     

    김영한님의 강의자료

    설정 정보를 조회하여 EntityManagerFactory 를 생성해준다. 이 팩토리를 이용하여 EntityManager 를 생성한다.

    주의할 점은 EntityManager 는 요청당 하나만 생성되고 그 이후엔 사라져야 한다. 쓰레드간의 공유는 절대 불가.

     

    또한 EntityManagerFactory 는 하나만 생성해서 애플리케이션 전체에서 공유한다. (강의자료 복붙 ㅎㅎ)

     

    JPA 의 모든 데이터 변경은 트랜잭션 안에서 실행된다!!!

     

    EntityManager 를 만들고, 가장 단순하게 조회할 수 있는 방법은 EntityManager.find() 를 이용하면 된다.

     

    JPQL 를 이용하면, 쿼리를 쓸 수 있다 (이렇게 이야기하면 아마 그럼 JPA 를 왜 써 다시 쿼리 쓸꺼면... 이라고 말할 수 있다. JPQL 은 객체를 이용한 쿼리다. 뒤에 더 자세히 설명한다.)

     

    끄읕!!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