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그래밍 공부 시작하기-7> 자바 공부 시작하기 <자바 실행해보기>프로그래밍 2020. 3. 31. 10:07
앞서 6개의 글을 작성하면서, 가장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넘어갔지만 내 처음 자바 공부는 이렇게 쉽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변수를 이해하는데 1-2일이 꼬박 걸렸다. 숫자를 저장하는 int 에 숫자가 몇자리까지 들어가고 얼마나 작은 수까지 들어가는가를 외우려 했고 이해하려 했다.
물론 중요하다. 사실 세상에 안 중요한 것이 있을까 싶지만.
int 라는 숫자 창고에 소수점은 들어갈 수 있을까? 음수는 얼마나 작은 수가 들어갈 수 있을까? 얼마나 큰 수가 들어갈까? 라는 의문이 생길 수도 있다. 의문이 생기면 찾아보는 걸 권장한다. 궁금한데 굳이 모르고 넘어갈 필요는 없다.
다만, 궁금하지 않고 난 자바라는 언어 전체를 이해하는 게 우선이야 라는 사람은 찾아볼 필요 없다. 나는 자바기본서를 어려움 없이 읽을 수 있는 전 단계까지만 안내를 할 것이다. 그 이후는 당신이 시중에 있는 훌륭한 기본서를 찾아서 읽고 직접 타이핑 해가면서 공부하면 된다. 처음하는 프로그래밍을 접하는 사람이 얼마나 갑갑하고 이해하기 힘든 지 알기 때문에 도움을 주려는 게 내 목적이다.
지금 작성하는 순간은 일곱번째 글을 쓰고 있지만, 내 개인적인 예상으로는 10번째 글 정도면 자바 기초에 대한 겉핥기는 다 언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 이후는 좋은 교재를 구입하거나, 좋은 강의를 찾아서 들어봤으면 좋겠다. 찾는데 어려움이 있다면 댓글을 통해서 문의를 주면 도움을 줄 수도 있을 것 같다.
자바 기본을 어느 정도 다루고 나면, 다음 글들은 자바기본서를 한번씩 읽어봤다는 가정하에 웹프로젝트를 작성하는 글들을 써나갈 예정이다. 내가 직접 커리큘럼을 짜는 건 무리고, 저명하신 분들의 강의를 하나 선정해서 듣고 그 내용에 내 이야기를 더해서 이해하기 쉽게 풀어쓸 예정이다.
소설 같이 써내려갈려고 시작했는데 너무 자바 이론 이야기만 쓰고 있는 것 같아서 다른 이야기를 좀 풀어봤다.
자바 내용이 궁금하신 분은 여기부터 읽어보시면 된다.
지금까지 컴퓨터에게 "이걸 화면에 출력해봐" 라는 System.out.print("내용") 을 이해했고, 기억을 저장하는 창고인 변수라는 것을 이해했다. 물론 한번 이해한 내용이기 때문에 100퍼센트 습득이 안되었다는 걸 알고 있다. 간단하게 정리하면서 추가내용을 보자.
int math = 100; int english = 100; int sum = math + english; System.out.print(sum);
위 코드를 봐보자. 한 눈에 무슨 내용인지 알아채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앞 내용으로 돌아가서 다시 봐볼까 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굳이 돌아갈 필요는 없다!) 내용을 다시 한번 보면,
첫번째 문장에서는 math 라는 기억저장 창고를 만들었다. 그 창고는 int 라는 숫자 전용 창고고안에는 100이라는 숫자를 담았다.
두번째는 동일하다. english 라는 창고에 100을 담았다.
세번째는 더하기가 있다. 우리는 이를 따로 설명하지 않아도 예상할 수 있다. sum 이라는 저장창고에 math 창고에 있는 숫자와 english 창고에 있는 숫자를 더해넣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sum 이라는 숫자 창고에 200 이라는 숫자가 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200은 math 의 100, english 의 100을 합한 수이다)
네번째는 우리에게 익숙한 "이걸 화면에 출력해봐" 이다. sum 이라는 저장창고에 있는 내용을 출력해! 라고 말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결과적으로 200 이라는 숫자가 화면에 출력될 것이다.
이렇게 글로만 읽는 것보다 직접 해보고 싶은 사람도 있을 것이다. 추천으로는 이 글들을 쭉 읽고, 자바기본서를 읽으면서 직접 만들어보는 것을 추천하지만, 정말 원한다면 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자바 기본서를 보면 자바를 써보기 위해서 세팅해야 하는 것들이 너무도 많다. 그래서 세팅하다가 지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가 권하지 않는 것도 있다. 하지만 또 방법은 있으니, 인터넷에 웹으로 바로 자바를 입력해볼 수 있는 곳이 있다.
지금부터 나오는 내용은, 위에서 언급한 내용처럼 정말 지금 상태에서는 안해도 전혀 상관없다. 혹시라도 호기심 넘쳐서 무조건 해봐야 겠다 싶은 사람들을 위한 내용이다.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위의 코드를 보고 이해할 수 있다면 쿨하게 다음 글로 넘겨도 된다.
여러 사이트가 있지만, 내가 알고 있는 한군데 이므로 이 곳을 추천한다.
www.ideone.com 이다.
사이트에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내가 말하지 않았던 여러가지 것들이 나온다. 뭐야 되게 쉬운 것처럼 이야기하더니 실상은 그렇지 않네... 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런 주변 내용들 때문에 큰 흐름을 이해하는데 방해될까봐 나는 먼저 다 읽고, 자바기본서를 읽는 것을 추천했다.
그래도 일단 언급을 했기 때문에 실행을 해보고 넘어가자. 우리가 자바 코드를 작성할 부분은
// your code goes here 부분이다. 친절하게도 잘 설명해주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자바 코드를 그냥 쓰는 게 아니라 그 전에 같이 써줘야 하는 것들이 있긴 있구나라는 걸 알 수 있다. 고맙게도 ideone 사이트에서는 미리 그것들을 써주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그냥 그런가보다 하고 넘어가면 된다.
저 부분에 우리가 아까 작성했던 코드를 써넣어보자. 붙여넣어도 좋고 직접 입력해도 좋다.
입력하고 초록색으로 생긴 Run 버튼을 눌러보자.
그럼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아래 부분에 보면 Success 라는 성공이 뜨고, 그 밑에 stdout 이라는 곳에 200이라는 글자가 잘 나온 것을 볼 수 있다. 글쎄... 내 처음 기억을 되살려보면 그다지 신기하지도 않고 뭐 그냥 그렇다. 별로 중요하지 않다. 우리한테 지금 필요한 건 (다시 한번 써보면)
int math = 100; int english = 100; int sum = math + english; System.out.print(sum);
이걸 보고 무슨 뜻인지 이해할 수 있으면 된다. 한번 쭉 다 이해하고 그 다음에 자바기본서를 읽는다.
이것만 기억하고 쿨하게 넘어가자.
반응형'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밍 공부 시작하기-9>자바 공부 시작하기 <동안에, for> (0) 2020.04.02 <프로그래밍 공부 시작하기-8>자바 공부 시작하기 <만약에, if> (0) 2020.04.01 <프로그래밍 공부 시작하기-6> 자바 공부 시작하기 <기억창고, 변수> (0) 2020.03.30 <프로그래밍 공부 시작하기-5> 자바 공부 시작하기 <가장 간단한 프로그램, hello world> (0) 2020.03.27 <프로그래밍 공부 시작하기-4> 자바 공부 시작하기 <자바 기본서를 읽기 전에> (0) 2020.03.26